고대 아프리카 - 카르타고 매크로비아
이집트가 서구 문명에 지배당하기 전까지는 자신만의 역사와 언어를 가진 부족들이 1000개 이상 됐습니다. 그 가운데 자신들만의 문화를 만들고 일정 수준 이상의 규모를 일구며 국가로 자라난 부족 국가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누비아 카르타고 마크로비아 바르바리 도시 국가 로마 북아프리카 악숨 서아프리카 등의 도시국가와 지역들에 대한 설명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카르타고
이집트인들은 베르베르인의 조상인 나일강 서쪽의 사람들을 리비아인이라고 불렀습니다. 리비아인들은 모로코의 마우리족과 알제리 중부 및 동부와 튀니스의 누미디아인과 같은 농업인이었습니다. 리비아인들은 또한 말을 타고 유목 생활을 했으며 게툴리와 같은 건조한 목초지와 사막을 차지하고 살았습니다. 베르베르 사막 유목민은 일반적으로 베르베르 해안 농부들과 갈등을 겪었습니다. 페니키아인들은 구리 금 주석 남과 같은 귀중한 금속을 끊임없이 찾고 있는 지중해의 선원들이었습니다. 페니키아인들은 북아프리카 해안에 정착촌에 거주하기 시작했습니다. 기원전 814년에 두로에서 온 페니키아인들이 카르타고를 건설했습니다. 기원전 600년 경 카르타고는 주로 열매 아프리카와의 무역을 통해 지중해의 주요 무역 주체이자 강국이 되었습니다. 카르타고의 번영은 베르베르 왕국인 우미디아와 모레타니아의 성장을 촉진했습니다. 기원전 500년 경 카르타고는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와의 무역에 강력한 동력을 제공했습니다. 사막이 황폐해진 이후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와의 관계를 이어온 베르베르 중개인은 오아시스에서 오아시스로 물건들을 옮기기 위해 짐을 실을 수 잇는 동물들을 사용했습니다. 상인들을 습격한 페즈의 가라만테로부터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습니다. 소금과 금속 제품들은 금과 노예 구슬 상아등과 교환 되어 거래되었습니다. 카르타고인들은 그리스인과 로마인과 라이벌 관계였습니다. 카르타고는 포에니 전쟁으로 로마와 세 차례 전쟁을 치렀습니다. 한니발이 유럽을 집공한 기원전 218년에서 201년의 제2차 포에니 전쟁과 기원전 149년에서 146년에 일어난 제3차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는 처음 두 전쟁에서 패했습니다. 세번째 전쟁에서는 카르타고가 파괴되어 로마의 아프리카의 속주가 되었습니다. 누미디아의 베르베르 왕국이 카르타고와의 전쟁을 하는 로마를 도왔습니다. 카르타고는 로마의 아프리카 속주로 밀과 올리브 올리브 오일을 공급하는 주요 농업 공급처가 되었습니다. 로마 제국은 과도한 세금을 메겼습니다. 2세기 후 로마는 누미디아와 모레타니아의 베르베르 왕국을 그 권위 아래로 이끌어왔습니다. 420년대에 반달족은 북아프리카를 침공했고 로마는 영토를 잃었습니다. 로마의 멸망으로 베르베르 왕국은 독립을 되찾았습니다. 기독교는 서기1년에 알렉산드리아에서 아프리카에 발판을 마련했고 북서 아프리카로 영역을 넓혀갔습니다. 서기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인해 북아프리카 전역이 기독교 인이 되었습니다. 이집트인들은 기독교를 채택하였고 독립적인 콥트 교회를 형성했습니다. 베르베르인들은 도나티스트 기독교를 채택했습니다. 이집트인들과 베르베르인들 모두 로마 가톨리 교회의 권위를 받아들이기를 거부하였습니다.
베르베르
카르타고의 세력이 커짐에 따라 토착민에 대한 영향력은 극적으로 증가했습니다. 베르베르 문명은 이미 농업과 제조업 무역 정치 조직이 여러 국가를 지원하는 단계에 있었습니다. 내륙에서 카르타고와 베르베르인 간의 무역관계는 성장했지만 영토 확장으로 인해 일부 베르베르인은 노예가 되거나 군대가 모집되었고 다른 사람들은 조공을 빼돌렸습니다. 기원전 4세기 초까지 베르베르는 갈리아와 함께 카르타고 군대의 가장 큰 요소 중 하나를 형성했습니다. 기원전 241년에서 238년에 일어난 용병 전쟁에서 카르타고와 아프리카 동맹국의 용병들이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제1차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의 패배 이후 무급으로 베르베르 병사들이 참가했습니다. 베르베르는 카르타고의 북아프리카 영토 대부분을 장악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북아프리카 원주민을 묘사하기 위해 그리스어로 리비아라는 이름을 가진 주화를 주조하기 시작했습니다. 카르타고 국가는 포에니 전쟁에서 로마의 연속적인 패배로 인해 쇠퇴했습니다. 기원전 146년에 카르타고 시가 파괴되었습니다. 카르타고의 세력이 약해지면서 배후 지역에서 베르베르 지도자들의 영향력이 커졌습니다. 기원전 2세기에는 규모가 크지만 느슨하게 관리되는 베르베르 왕국이 여러 곳에서 등장했습니다. 그 중 두 곳은 카르타고가 통제하는 해안 지역 뒤에 있는 누미디아에 설립되었습니다. 누미디아 서쪽에는 모로코의 물루야 강을 가로질러 대서양까지 뻗어있는 모레타니아가 있었습니다. 베르베르 문명의 장점은 알모하드와 알모라비드 왕조가 도래할 때까지 천 년이 넘었지만, 마시니사 통치 기간 동알했습니다. 기원전 2세기 기원전 148년 마시니사가 사망한 후 베르베르 왕국은 여러번 분열되었고, 재통일되었습니다. 마시니사의 계보는 서기 24년까지 살아남았고, 그 때 나머지 베르베르 영토가 로마 제국에 합병되었습니다.
마크로비아와 바르바리 도시
마크로비아는 기원전 5세기에 언급된 아프리카의 뿔 지역 현재 소말리아에 위치한 고대 왕국이었습니다. 헤로도토스의 기록에 의하면 페르시아 황제 캄비세스 2세는 기원전 525년이집트를 정복한 후 마크로비아 왕에게 사치스러우 선물을 보내 그의 복종을 유인하기 위해 대사를 보앴습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키에 근거하여 선출된 마크로비안 통치자는 대답 대신 자신의 페르시아 왕에 대한 도전을 풀지않은 활의 형태로 드렸습니다. 그러나 그때까지 그들은 마크로비아가 그들의 제국을 침략하기로 결정하지 않은 것에 대한 신들에게 감사를 표해야 합니다. 마크로비안은 선전 건축과 금으로 유명한 지역 강대국이었습니다. 금이 너무 풍부해서 죄소들을 황금 사슬로 묶을 정도였습니다. 마크로비아의 붕괴 후 오포네 에시나 사라피온 니콘 마라오 다모 및 모스리온과 같은 여러 부유한 고대 도시 국가는 케이프 과르다푸 근처의 기원전 1년에서 500년 사이에 사바니안과 파르테논및 악수미테스와 경쟁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 부유한 인도 그레코 로마 무역을 위해 집합적으로 알려진 지역에서 수익성이 있는 무역 네트워크를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
주요 국가로는 이집트가 있었고 그 외에도 카르타고와 바르바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마크로비아와 베르베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어떻게 지도자를 선출하고 운영이 되는지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각 나라들은 자신들의 상황에 맞게 글을 쓰시고 공통의 목표를 이루기 위하여 노력하였습니다. 그 가운데서 외부와 전쟁이 일어나기도 하고, 식민지가 되어서 어려운 상황을 겪고 있습니다.